Study!/미래 신기술 연구

면역관문 억제제 PD-1

Future Insight31 2025. 1. 4. 17:25
반응형

 


PD-1 및 PD-L1 면역관문억제제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혁신적인 암 치료법입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다양한 암종에 대해 효과를 보이며, 현재까지 여러 약물이 개발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PD-1/PD-L1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Pembrolizumab): 2019년 기준으로 110.8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가장 많은 적응증을 보유한 약물입니다.

옵디보(Nivolumab): 다양한 암종에 사용되며,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티센트릭(Atezolizumab), 임핀지(Durvalumab), 리브타요(Cemiplimab): 각각 특정 암종에 대해 승인받아 사용 중입니다.


이러한 면역관문억제제의 글로벌 시장은 2019년 약 221.5억 달러에서 연평균 13.21%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5년에는 약 527.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병용요법의 부상:

최근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른 치료법과의 병용요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19년 기준 진행 중인 임상시험의 76%가 병용요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면역항암제, 표적치료, 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과 함께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FDA는 최근 몇 년간 신장암, 자궁내막암, 폐암 등에 대한 PD-1 mAb 병용요법을 승인하였으며, 이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면역관문억제제의 작용 기전:

암세포는 PD-L1이라는 단백질을 발현하여 면역세포의 PD-1과 결합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회피합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PD-1 또는 PD-L1을 차단하여 T 세포의 활성을 회복시키고, 이를 통해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합니다.

면역관문억제제의 부작용:

일반적으로 기존의 세포독성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지만, 면역체계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면역 관련 이상반응(immune-related adverse events, irAEs)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피부, 간, 내분비계 등 다양한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치료 중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면역관문억제제의 최신 연구 동향:

최근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른 치료법과의 병용요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표적치료제 등과의 병용을 통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암줄기세포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여 재발과 전이를 막기 위한 전략도 모색되고 있습니다.

참고 문헌:

면역관문억제제를 이용한 면역항암요법의 현황

면역관문억제제의 이상반응

암줄기세포의 특성 및 면역관문억제


위의 자료들은 면역관문억제제의 작용 기전, 임상 적용, 부작용 및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향후 과제:

병용요법의 확대와 함께,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바이오마커 개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적합한 환자군을 선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내성 극복: 많은 환자들이 약물 내성이나 재발을 경험하므로, 이를 대비한 새로운 약물 개발이 요구됩니다.

임상시험의 효율성: 다양한 소규모 환자 모집단에 대한 임상시험 수행과 빠른 환자 모집을 통해 치료 혜택을 확대해야 합니다.
https://nkmax.com/kor/bbs/board.php?bo_table=media_pr&wr_id=15

이러한 노력을 통해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더 많은 환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약업신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