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지엠의 생산 및 판매 현황
- 트레일블레이저: 연간 15만 대 생산, 이 중 13만 대 미국 수출
- 트랙스 크로스오버: 연간 10만 대 생산, 이 중 8만 대 미국 수출
- 내수 판매 비중: 전체 생산량의 15% 미만
2024년 기준 내수 판매량은 2만4,824대로 전년 대비 36% 감소하는 등 부진을 겪고 있다. 이는 한국지엠이 사실상 미국 시장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구조임을 보여준다.
트럼프 관세가 한국지엠에 미칠 영향
모델 | 현재 판매가 | 관세 부과 후 가격 |
---|---|---|
트레일블레이저 | $25,000 | $31,250 |
트랙스 크로스오버 | $22,000 | $27,500 |
한국에서 생산 vs. 미국 내 생산 이전 시 비용 분석
트레일블레이저 1대를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한국에서 수출하는 것보다 약 4,000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한다.
생산 위치 | 총 비용 |
---|---|
한국 생산 및 수출 (관세 포함) | $26,500 |
미국 내 생산 | $22,500 |
한국지엠 철수 가능성 분석
- 높은 고정비: 한국 내 인건비 및 운영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음
- 정부 지원 축소: 과거 정부의 지원이 있었으나, 추가 지원 가능성이 불확실함
- 미국 시장 의존도: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미국 관세 정책이 사업 지속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철수 시 한국 경제와 임직원 영향
한국지엠은 현재 약 16,236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면 그 영향을 받는 인원은 더욱 많아진다.
- 대규모 실직 사태: 임직원 및 협력업체 직원들의 고용 불안
- 부평·창원 지역 경제 침체: 공장 폐쇄로 인한 지역 경기 위축
- 부품업체 피해: 자동차 부품업체의 매출 감소 및 도산 가능성
결론: 한국지엠, 철수할 것인가?
한국지엠의 철수 여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GM 본사의 글로벌 전략에 달려 있다. 만약 25% 관세가 실제로 시행된다면, GM은 한국 철수를 본격적으로 검토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관세 완화나 협상 여지가 있다면 철수 시점이 늦춰질 수도 있다.
향후 한국지엠과 한국 정부의 대응이 어떻게 전개될지, GM 본사의 최종 결정이 주목된다.
반응형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바이오 관련주 정리 (1) | 2024.12.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