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경제 용어 공부하기 : 채권, 어음, 부도

반응형



요즘 많이 보이는 금융 단어 3가지: 채권, 어음, 부도

금융 관련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채권(Bond), 어음(Promissory Note), 부도(Default). 하지만 정확한 의미를 알지 못하면 뉴스나 기사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용어를 쉽게 설명하고, 관련된 영어 표현도 함께 정리해보겠다.


---

📌 1. 채권 (Bond)란?

채권은 "돈을 빌려주고 나중에 받는 권리"를 의미한다.

✔ 쉽게 말하면?

채권은 "이자를 주겠다고 약속하고 돈을 빌리는 문서"다. 기업이나 정부가 돈이 필요할 때 채권을 발행하고, 투자자들은 이를 구매해 돈을 빌려주는 형식이다.

✔ 예시

A회사가 사업 확장을 위해 자금이 필요하다.

투자자들에게 "나중에 이자까지 더해서 돌려줄게"라고 약속하며 돈을 빌린다.

투자자들은 A회사의 채권을 받고 돈을 빌려준다.

일정 기간 후 A회사는 원금과 이자를 투자자에게 지급해야 한다.


✔ 관련 영어 표현

Bondholder – 채권을 보유한 투자자

Maturity Date – 채권이 만기가 되어 돈을 돌려받는 날짜

Interest Payment – 이자 지급

Government Bonds – 정부가 발행한 채권


📍 채권의 특징

✅ 일정 기간 후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을 수 있음 (Receive principal and interest after a fixed period)
✅ 은행 예금보다 높은 수익 가능 (Potentially higher returns than savings deposits)
✅ 기업과 정부가 발행할 수 있음 (Issued by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

📌 2. 어음 (Promissory Note)란?

어음은 "나중에 돈을 지급하겠다는 약속이 적힌 문서"**다.

✔ 쉽게 말하면?

어음은 "지금 당장 현금이 없어도 나중에 지급하겠다는 공식적인 약속"이다.

✔ 예시

B회사가 C회사에서 물건을 샀지만, 지금 당장 현금이 없다.

"한 달 후에 꼭 돈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이 적힌 어음을 C회사에 준다.

한 달 뒤, C회사는 어음을 은행에 가져가 돈을 받거나, 다른 사람에게 넘겨 거래할 수도 있다.


✔ 관련 영어 표현

Issuer – 어음을 발행한 사람 (돈을 지급해야 하는 사람)

Payee – 어음을 받은 사람 (돈을 받을 사람)

Maturity Date – 어음의 만기일

Dishonored Note – 지급 거절된 어음


📍 어음의 특징

✅ 돈을 나중에 지급하는 약속 문서 (A written promise to pay later)
✅ 기업 간 거래에서 자주 사용됨 (Commonly used in business transactions)
✅ 만기일이 되면 은행에서 돈을 받을 수 있음 (Can be cashed at the bank on the due date)


---

📌 3. 부도 (Default)란?

부도는 "어음이나 수표가 만기일에 지급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 쉽게 말하면?

어음을 받은 사람이 만기일에 은행에 갔는데 돈이 없어서 지급되지 않으면 부도가 발생한다.

✔ 예시

B회사가 어음을 발행했지만, 약속한 날짜에 통장에 돈이 부족하다.

은행에서 "지급할 수 없습니다"라고 하면 부도가 난 것이다.

부도가 나면 신용도가 떨어지고 사업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다.


✔ 관련 영어 표현

Default on payment – 지급 불이행

Bankruptcy – 파산

Non-sufficient funds (NSF) – 잔고 부족으로 지급 불가능

Financial distress – 심각한 재정 위기


📍 부도의 특징

✅ 약속한 돈을 지급하지 못하는 상태 (Failure to pay as promised)
✅ 기업의 신용도가 급격히 하락 (Significantly damages creditworthiness)
✅ 심하면 회사가 파산할 수도 있음 (Can lead to bankruptcy)


-






정리하면?

이제 뉴스에서 "채권 금리 상승", "기업 어음 거래 증가", "부도 위기 기업 등장" 같은 표현이 나와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